맨위로가기

진저우시 (스자좡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저우시(晋州市)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스자좡시에 속하는 현급시이다. 춘추 시대부터 역사적 중요성을 지녔으며, 여러 왕조의 지배를 거치며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현재는 9개의 진(镇)과 1개의 향(乡)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G1811 황화-스자좡 고속도로와 307번 국도가 지나가고, 스자좡-더저우 철도가 통과하여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자좡시의 행정 구역 - 창안구 (스자좡시)
    창안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스자좡시에 속하며, 8개의 가도와 3개의 진을 관할한다.
  • 스자좡시의 행정 구역 - 싱탕현
    싱탕현은 허베이성 스자좡시 관할의 현으로, 역사적으로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 4개의 진과 11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 허베이성의 현급시 - 쭌화시
    쭌화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탕산시에 위치한 현급시로, 낮은 산, 구릉, 골짜기가 많은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철, 망간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이 매장된 교통의 요충지이다.
  • 허베이성의 현급시 - 선저우시
    선저우시는 허베이성 헝수이시에 속한 현급시로, 과거 심현이었으나 시로 승격되었고, 북송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지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를 보인다.
진저우시 (스자좡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중화인민공화국 진저우시
로마자 표기Jìnzhōu Shì
종류현급시
별칭쥐루 (鉅鹿)
취양 (曲陽)
시양 (昔陽)
구청 (鼓城)
별칭 설명과거 진저우시의 이름
위치허베이성 스자좡시
설립일1991년 11월
좌우 표어(하느님의 뜻이 먼저다)
언어중국어
지리
면적619.0 km²
도시 면적90.78 km²
해발 고도47 m
인구
전체 인구 (2017년)582,000명
도시 인구 (2017년)139,600명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9개의 진, 1개의 향
시 정부 소재지진저우
경제
주요 산업배 생산
특징(배의 고장)
교통
철도역진저우역
진저우역
진저우역
진저우역 북쪽
진저우역
식별 코드
우편 번호052200
지역 번호0311
행정 구역 코드130183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진저우시 인민 정부

2. 역사

춘추 시대부터 1991년 현급시로 승격되어 진주시가 탄생하기까지 진저우시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시대주요 내용
춘추 시대 ~ 남북조 시대고, 진, 연, , 등의 영토 변화, 진나라 거록군 설치, 한나라 하곡양현 설치, 광무제의 농민 반란 진압, 황건적의 난 발생, 북위 곡양현 개칭, 북제에 의한 폐지.
수나라 ~ 원나라석양현, 고성현으로 개칭, 진주 설치 및 폐지 반복, 홍건적의 난 발생.
명나라 ~ 청나라진주로 개편, 정난의 변 발생, 이민 정책 실시, 직례주 승격, 정정부 직할.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진현으로 개편, 중국 공산당 항일 거점 설치, 여러 현으로 분할 및 통합, 현급시 승격.


2. 1. 고대

춘추 시대에는 고의 영토였다. 이후 진의 공격을 받아 그 판도의 일부가 되었다. 전국 시대에는 연, , 가 석양(현재의 십리포촌)을 둘러싸고 항쟁을 벌였다.

2. 2. 진, 한 시대

기원전 221년, 진나라가 거록군을 설치하면서 그 관할이 되었다.[1] 한나라 때는 기주 거록군 아래에 '''하곡양현''', 임평현, 안향현이 설치되었다.[1] 하곡양현은 현재 진저우시의 전신이 된다.[1]

28년 (건무 4년), 광무제는 임평향(현재의 고성채)에서 농민 반란을 진압하고 임평, 안향 두 현을 폐지하여 하곡양현에 통합했다.[1] 184년 (건무중원 원년) 황건적의 난 때 하곡양현은 광종현, 거록현과 함께 큰 피해를 입었다.[1] 황보숭이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살해된 8만 명의 농민군 시체는 하곡양현 남쪽 자성(현재의 동자성, 서자성 부근)에 매장되었고, 봉토가 언덕과 같아 "경관"이라 불렸다.[1]

2. 3. 후한, 남북조 시대

28년(건무 4년), 광무제는 임평향(현재의 고성채)에서 농민 반란을 진압하고 임평, 안향 두 현을 폐지하여 하곡양현에 통합했다.[1] 184년(건무중원 원년) 황건적의 난이 발생하여 하곡양현은 광종현, 거록현과 함께 큰 피해를 입었다.[1] 황보숭에 의해 진압되었고, 그 과정에서 살해된 8만 명의 농민군 시체는 하곡양현 남쪽 자성(현재의 동자성, 서자성 부근)에 매장되어 봉토가 언덕과 같아져 "경관"이라고 명명되었다.[1]

남북조 시대 북위는 '''곡양현'''으로 개칭했으나, 북제에 의해 폐지되어 고성현에 편입되었다.[1]

2. 4. 수, 당, 원 시대

수나라 때인 596년(개황 16년)에 석양현으로 재설치되었고, 2년 뒤 고성현으로 개칭되었다.[1] 1215년 원나라에 의해 진주가 설치되었고, 고성현은 그 주치가 되었다.[1] 1238년에 진주는 일시 폐지되었으나, 1261년(중통 2년)에 재설치되었다.[1] 원나라 말에는 자연재해가 잇따라 농민 반란이 자주 일어났고, 1360년(지정 20년)에는 홍건적의 난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1]

2. 5. 명, 청 시대

명나라 때 고성현은 폐지되고 '''진주'''로 개편되었으며, 안평현, 요양현, 무강현의 3현을 관할했다.[5] 1401년 (건문 3년) 정난의 변 때 호타하 양안에서 전투가 벌어져 인구가 격감했고, 이를 회복하기 위해 영락 연간에 홍동현에서 이민 정책을 실시했다.[5]

1724년 (옹정 2년), 청나라는 진주를 직례주로 승격시켜 무극현 및 고성현을 관할하게 했고, 안평, 요양, 무강의 3현은 심주로 이관되었다.[5] 1734년 (옹정 12년), 진주는 산주가 되어 정정부에 직할되었고, 무극, 고성 두 현도 정정부 직할이 되었다.[5]

2. 6.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912년 (중화민국력 원년), 중화민국에 의해 주제가 폐지되면서 '''진현'''(晋县)으로 개편되었다.

중일 전쟁 기간에는 중국 공산당에 의해 항일 거점이 설치되었고, 1939년 (민국 28년)에는 석덕선 철도를 경계로 진북현 및 진남현이 설치되었다. 1941년 (민국 30년)에는 진남현과 고성현 남부 및 정정현 일부를 통합하여 진고현이, 진북현은 심택현 및 무극현과 통합되어 심극현(이듬해 속북현과 합병하여 속진현이 됨)이 성립되었다.

1945년 9월 3일, 중화민국 정부는 다시 '''진현'''을 설치했다. 1958년 11월에 진현 및 심택현이 속록현에 편입되었으나, 1961년 5월에 다시 진현(구 심택현 포함)이 설치되었다. 그 후 심택현이 다시 분리되었고, 1991년 11월 30일에 현급시로 승격하여 진주시(晋州市)가 탄생했다.

3. 지리

이전 출력에서는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4. 기후

진저우시는 온대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기온

진저우시의 기후는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록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6]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그리고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극한값 기록은 중국 기상청에서 제공되었다.[3][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3.17.113.621.527.031.831.930.226.620.711.34.6
평균 기온 (℃)-2.60.97.315.020.725.627.025.420.714.35.5-0.7
평균 최저 기온 (℃)-7.2-4.01.99.014.619.922.721.315.99.21.0-4.7
역대 최고 기온 (℃)16.824.032.233.839.040.542.636.836.132.626.320.4
역대 최저 기온 (℃)-17.8-17.3-8.8-1.34.210.816.713.36.0-3.8-15.7-22.8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3.47.614.721.927.632.132.430.72720.611.44.6
평균 기온 (℃)-1.91.78.415.521.526.227.626.121.314.66.1-0.3
평균 최저 기온 (℃)-6.0-2.73.29.815.720.823.422.216.99.92.0-3.9
평균 강수량 (mm)2mm5mm8.7mm24.2mm33.4mm54.2mm114.9mm114.2mm44.6mm23.9mm13.3mm3.1mm
평균 상대 습도 (%)545048535759727670646459
평균 강수일수 (≥ 0.1 mm)1.52.52.44.85.98.011.29.86.65.03.81.9
평균 일조 시간152.3162.8213.6229.2253.5221.8182.5193.4190.3176.2150.6148.3
평균 일조율 (%)505357585750414652515050
평균 적설일수2.62.41.00.20000001.32.2


4. 2. 강수량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1981~2010년 평균 강수량 (mm)[6]2.3mm4.7mm10.5mm21.1mm34.2mm52.3mm120.5mm123.2mm48.9mm23.7mm11.4mm3mm
1991~2020년 평균 강수량 (mm)[3][4]2mm5mm8.7mm24.2mm33.4mm54.2mm114.9mm114.2mm44.6mm23.9mm13.3mm3.1mm


4. 3. 습도

진저우시의 월별 평균 습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1981-2010년 평균565252566161768073666561
1991-2020년 평균545048535759727670646459

[6]

4. 4. 기타 기후 특징

구분평균 상대 습도(%)평균 강수일수 (≥ 0.1 mm)연간 일조 시간평균 일조율(%)연간 강설일수
1981년~2010년[6]63
1991년~2020년[3][4]61.42274.59.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상대 습도(%) (1981~2010년)[6]565252566161768073666561
평균 상대 습도(%) (1991~2020년)[3][4]545048535759727670646459
평균 강수일수 (≥ 0.1 mm) (1991~2020년)[3][4]1.52.52.44.85.98.011.29.86.65.03.81.9
월간 일조 시간 (1991~2020년)[3][4]152.3162.8213.6229.2253.5221.8182.5193.4190.3176.2150.6148.3
평균 일조율(%) (1991~2020년)[3][4]505357585750414652515050
평균 강설일수 (1991~2020년)[3][4]2.62.41.00.20000001.32.2


5. 행정 구역

진저우시는 9개 진, 1개 향을 관할한다.[2]


  • 진: 진저우, 종스좡, 잉리, 타오위안, 둥줘수, 마위, 샤오차오, 후아이수, 둥리좡
  • : 저우자좡

5. 1. 진 (镇)

진저우(晋州镇), 종스좡(总十庄镇), 잉리(营里镇), 타오위안(桃园镇), 둥줘수(东卓宿镇), 마위(马于镇), 샤오차오(小樵镇), 후아이수(槐树镇), 둥리좡(东里庄镇)이 있다.[2]

진저우시의 진 목록
진(鎭) 이름관할 촌
진저우동관촌, 서관촌, 남관촌, 동가촌, 서가촌, 중가촌, 비가장촌, 송가장촌, 이가장촌, 유가장촌, 진가장촌, 장가장촌, 요가장촌, 조촌, 정가장촌, 번장촌, 양가장촌, 탑상촌, 선리촌, 십리포촌, 고성촌, 조위촌, 팡표촌, 손가장촌, 동자성촌, 서자성촌, 남고저촌, 북고저촌, 고가촌, 조팔장촌, 여가채촌, 루저촌, 소장촌, 동숙촌, 숙촌, 동장촌, 원두촌, 류촌촌, 뢰진촌, 원두장가장촌, 우가장촌, 교공촌, 소포촌
종스좡총십장촌, 동조어대촌, 공목장촌, 모가채촌, 팡고장촌, 관장촌, 염창채촌, 영풍촌, 팔리장촌, 조원촌, 사불두촌, 염창촌, 무구촌, 하두촌, 마방두촌, 장합채촌, 서장구촌, 호사장촌, 하구촌, 장가장촌, 왕석비장촌
잉리영리촌, 동평향촌, 서평향촌, 북평향촌, 송가장촌, 노가장촌, 대상촌, 소상촌, 호사장채촌, 장십자장촌, 남위가구촌, 북위가구촌
타오위안도원촌, 전조칠자촌, 후조칠자촌, 전리명보촌, 후리명보촌, 섭촌, 원가장촌, 장가장촌, 상고장촌, 명학장촌, 서조가촌, 한장촌, 기장촌, 주원방촌, 주두촌, 조란장촌, 장가장촌, 곽가장촌, 하가채촌, 서조어대촌, 동소류촌, 서소류촌, 동대류촌, 서대류촌
둥줘수동탁숙촌, 서탁숙촌, 동석촌, 서석촌, 전둔촌, 후둔촌, 남팽장촌, 북팽장촌, 남백탄촌, 북백탄촌, 전유림촌, 후유림촌, 윤가장촌, 남전촌, 동하두촌, 탑로촌, 대왕촌, 사두촌, 반석촌, 해탄촌, 류장촌, 염촌, 진가장촌
마위마우촌, 동조가장촌, 서조가장촌, 남동광촌, 북동광촌, 남신장촌, 북신장촌, 전팽두촌, 후팽두촌, 동대촌, 서대촌, 맹가장촌, 려가장촌, 속리장촌, 양가영촌, 고성채촌, 동가장촌, 서가장촌, 대사장촌, 소사장촌, 윤가장촌, 조가장촌, 마방영촌, 정가영촌, 려가영촌
샤오차오소초촌, 사상촌, 천도촌, 팽소촌, 동룡화촌, 서룡화촌, 칠급촌, 광찬촌, 장소촌, 대초촌, 둔상촌, 만장촌, 전촌촌, 서왕촌, 남왕촌, 북왕촌, 동조촌, 서조촌, 니안촌, 팡촌촌, 상영촌
후아이수괴수촌, 니마촌, 주촌, 용두촌, 조장촌, 상구촌, 소팽촌, 남장리촌, 북장리촌, 남백수촌, 북백수촌, 전조상촌, 후조상촌, 기저촌, 후성촌, 관흡촌, 하음촌, 용천고촌
둥리좡동리장촌, 남소오촌, 북소오촌, 중작촌, 팽광촌, 이가장촌, 마가장촌, 서리장촌, 리풍촌, 남조장촌, 고풍촌, 타승장촌, 대석가장촌, 안가장촌, 동사려촌, 서사려촌, 남사려촌, 북사려촌, 숙생촌, 신풍촌, 왕가장촌, 최가장촌, 단가장촌, 인의촌, 마방촌, 동가장촌, 소석가장촌


5. 2. 향 (鄕)

저우자좡()은 10개의 촌을 관할한다.[5]


6. 교통

진저우시는 교통의 요지이다. G1811 황화-스자좡 고속도로, 307번 국도, 스자좡-더저우 철로가 이곳을 지난다.

6. 1. 도로


  • G1811 황화-스자좡 고속도로
  • 307번 국도

6. 2. 철도

스자좡-더저우 철로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20-01-11
[2]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1-19
[3]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5
[4]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5
[5] 웹사이트 2017年统计用区划代码 http://www.stats.gov[...] 2018-08-06
[6] 웹인용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